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GA (Google Analytics, 구글 애널리틱스) 기본! 진짜 쌩기초부터 알려드립니다
    디지털 마케팅/구글 2022. 7. 24. 19:11
    728x90

    1) GA를 사용하기 위한 초간단 3단계

    1. 속성의 추적 ID를 파악한다 (설정 > 속성 > 추적 정보 > 추적 코드)

    2. 자신의 웹사이트 헤더(Header)에 삽입

    3. GA 실시간 보고서에서 확인

     

    2) 트래킹 URL 생성하는 방법 

    utm 파라미터의 기본적인 규칙만 알고 있다면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정 어렵다면 검색만으로도 간단한 UTM Builder를 찾을 수 있습니다. 

     

    utm_source = 매체

    utm_medium = 광고종류, 과금방식 등

    utm_campaign = 캠페인명

    utm_content = 소재명

    utm_trg = 타게팅

     

    3) 리포트의 종류

    1. 실시간 보고서

    고객이 어느 지역에서 유입되어 어떤 페이지에 머물고 있는지, 어떤 이벤트를 발생시키는지에 대한,

    말 그대로 실시간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잠재고객 보고서

    웹 사이트에 방문한 유저들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합니다.

    💡 [잠재고객] - [인구통계] - [개요] 가 가장 중요한 잠재고객 리포트로, 전반적인 유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획득 보고서 (중요! ⭐)

    우리 유저를 어떤 경로로 획득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특히 소스/매체 항목의 경우 실제 집행 매체에 대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여 매체 최적화에 도움이 됩니다.

     

    4. 행동 보고서

    - 세션 (session) : 클릭과 비슷하나, 지정된 기간 내에 웹사이트에서 발생한 사용자 상호작용의 집합

    💡 TIP! 클릭 수와 비교해서 실제로 유저가 방문해서 유의미한 이벤트를 일으키는지 관찰해 보세요!

    - 이탈 (bounce) : 특정 페이지의 이탈율을 파악해서 해당 페이지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랜딩페이지를 바꾸는 등 의사결정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5. 전환 보고서

    유저의 [획득 > 행동 > 전환] 흐름에 따라 보고서를 조회, 분석하면 가장 효율적입니다.

    전환 보고서는 목표(회원가입, 장바구니 등), 전자상거래 전환(구매) 같은 전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리포팅을 위한 데이터 추출

    단순히 기간 설정을 하고 내보내기를 통해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맞춤 보고서를 통해 입맛에 맞게 보고 싶은 데이터를 가공하여 추출할 수 있습니다. (*경로: 맞춤설정 > 맞춤 보고서)

    Raw Data 형태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엑셀 피벗테이블로 간단하게 가공도 가능하니 웬만하면 맞춤 보고서를 사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매일매일 메일로 보내도록 세팅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데일리 성과, 캠페인 트렌드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예시) 트래픽 보고서

    - 측정항목: 세션, 새로운 세션 %, 신규 방문자, 이탈률, 세션당 페이지수, 평균 세션 시간, 전자상거래 전환율, 거래수, 수익, 목표 전환율

     - 측정기준 드릴다운: 소스/매체 > 소스/매체

     

    이제 곧 GA3에서 GA4로 환경이 바뀌면서 오늘 안내드린 셋팅방법에서 일부 달라지는 부분은 있겠지만 기본적인 골자는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잘 활용해서 똑똑하게 데이터를 활용해 보아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