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최저 비용 전략밖에 몰랐다면? 입찰가 한도 전략 파헤치기디지털 마케팅/페이스북 2021. 10. 7. 15:55728x90
안녕하세요 디지털 마케팅 꿀팁을 알려드리는 글적입니다! 오늘은 페이스북 입찰 전략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디폴트 옵션으로 설정돼 있는 만큼 가장 많은 분들이 기본으로 사용하고 계실 법한 '최저 비용' 전략부터, 보다 고가치 유저에게 접근할 수 있는 입찰 전략까지 알아보자구요!
우선 캠페인 예산 전략에 어떤 옵션들이 있는지 봐야겠죠? 광고의 가장 주된 목표인 전환 캠페인의 옵션을 봅시다.
1. 최저 비용: 현재 예산으로 최대한 많은 결과
2. 비용 한도: 결과당 비용(CPA) 설정하여 비용 내에서 입찰
3. 기타 옵션 > 입찰가 한도: 전환 당 최대 입찰가 내에서 입찰
1. 최저 비용 전략
최저 비용 예산 전략은 아마 대부분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전략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설정한 일예산 내에서 최대한 많은 결과를 확보한다니, 당연히 선택해야 할 것 같잖아요! 실제로 운영 중에 가장 많이 쓰는 전략이기도 합니다. 광고를 처음 시작하는 브랜드는 CPC, CPA 같은 기본적인 지표들에 대해 우리 서비스가 얼마만큼의 성과를 내는지 알 수 없어 거의 필수적으로 이 옵션으로 시작해야 하죠. 고려해야 할 조건은 딱 하나, 캠페인 일예산이니 심플하고 강력한 옵션이 아닐 수 없습니다.
2. 비용 한도 전략
페이스북 광고관리자 내에서 얼핏 본 설명글로는 비용 한도 전략과 최저 비용 전략의 차이를 알기 어렵습니다. 현재 예산으로 결과 수를 극대화한다는 똑같은 설명인 것 같아요. 자세히 알아보면 이렇습니다. '비용(최적화 이벤트당 평균 비용)을 성과 측정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하는 경우, 비용 한도를 사용하여 해당 비용을 기준으로 광고를 최적화하세요'
즉, 평균 CPA를 알고 있고, 그 비용을 평균 또는 평균 이하로 유지하고 싶은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인데요. 이 경우 최저 비용 전략에 비해 예산 소진과 머신러닝 학습 속도가 더딜 수 있다는 점은 꼭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3. 입찰가 한도 전략
그럼 입찰가 한도 전략은 비용 한도 전략과 또 어떻게 다를까요? 입찰가 한도 전략은 전환당 입찰가로 최대 얼마까지 지출할 의사가 있는지, 말 그대로 '최대 입찰가'를 설정해 주는 입찰전략입니다. 비용 한도 전략이 'tCPA', 즉 타겟으로 하는 CPA를 설정하는 거라면, 최대 입찰가 한도 전략은 최대 얼마까지 지출할 의향이 있는지를 등록하여 그 안에서 비딩하는 거죠.
입찰가 한도 전략을 사용하신다면 평균 CPA의 3배에서 5배 정도까지 최대 입찰가를 설정해 보세요. 최저 비용 전략으로는 도달할 수 없었던 고가치 유저에게 우리 광고를 노출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전환당 비용과는 수치가 다를 수 있고, 입찰가를 낮게 설정하게 되면 아예 광고가 미게재될 수 있는 점에 주의하세요!
오늘은 페이스북 캠페인의 입찰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서비스마다, 예산에 따라 너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라 개괄적으로 말씀드렸는데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지털 마케팅 > 페이스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cebook Marketing Summit (FMS) 2021 페이스북 마케팅 서밋 다시보기 + 요약 (0) 2021.10.14 FMS KOREA 2021 / 전환 API 사용하면 픽셀 단독 사용했을 때보다 성과가 좋아진다? (0) 2021.10.11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 대시보드 기초 설정 (날짜 기간, 열 맞춤 설정) (2) 2021.10.08 페이스북 맞춤타겟, 유사타겟으로 효과적인 타겟팅 하기 (0) 2021.09.30 페이스북 광고 기본 / 픽셀 헬퍼 익스텐션(Facebook Pixel Helper) 사용법 (0) 2021.09.19